☆〓♣사군 자 방

[스크랩] 신사임당의 초충도

윤정의 일상 2008. 9. 12. 17:24

 

 

 신사임당(申師任堂)의 초충도(草蟲圖)

 

         조선 중기(朝鮮中期)의 여류 예술가(女流 藝術家)

                      생몰연대- <1504(연산군(燕山君) 10년)~1551(명종(明宗) 6년)>.

 

                    <율곡 이 이(栗谷 李 珥)>의 어머니,

                      시 서 화(詩書畵)에 뛰어나 조선 중기의 현모 양처로 알려져 있다.

                      부친은,

                         본관이 평산, 기묘 명현(己卯名賢)의 한 사람인 신 명화(申 名和),

                      모친은,

                         용인 이씨의 이 사온(李 思溫)의 딸이다.

 

 

         사임당(師任堂)은 주(周)나라 문왕(文王)의 어머니

                   태임(太任)의 본을 받는다는 뜻으로의 당호(堂號-별채의 이름),

                          <시임당(媤任堂)>, <임사재(妊思齊)>로도 불리운다.

 

                   북평(北坪)에서 태어나 강릉(江陵)의 외가(外家)에서 자랐으며

                   <19세>에 <덕수이씨>의 <이 원수(李 元秀)>와 혼인했다.

                   결혼 뒤에는 친정에 머물렀다가

                   <38세>에 시집살이를 주관하기 위한 방편으로 서울로 상경한다.

                   <사임당>의 예술 작품으로는 <도화(圖畵)>가 40폭 정도,

                    산수화(山水畵),

                    포도화(葡萄畵)·

                    묵죽화(墨竹畵)·

                    묵매화(墨梅畵),

                    초충도(草蟲圖) 등의 다양한 분야에 걸쳐 있다.

 

         사임당(師任堂)의 산수화(山水畵)는,

                  <안견파 화풍>과,

                  <절파 화풍>을 절충시킨 화풍으로,

         <16세기> 전반에 만들어진 <산수화단>의 새로운 장르를 보여준다.

          특히 <월하고주도(月下孤舟圖〉에서는,

          산들이 나지막히 옆으로 길게 뻗어 있는 기예로 

          수면 위에 전개되는 공간은 막힘이 없는 듯 끝없이 펼쳐진다.

   

    〈초충도(草蟲圖)>는

             여성적인 섬세한 필치로 미려한 설채법을 구사한다.

             8폭의 <초충도> 가운데에서 <그림 가지>를 살펴보면,

             화폭의 중앙에

             곡선진 <그림 가지>의 두 줄기가 좌우대칭을 이루면서 세워져 있고,

             섬약한 <그림 가지줄기>에는

            <밤색>과 <흰색>의 <그림 가지>들이 곱게 열려 있다.

            <그림 가지> 주변에는

             다른 종류의 화초와 곤충들을 배열시키므로

             화폭의 생동감을 얻어냈다.

             안정된 구도와 <몰골법(沒骨法)>으로만 이루어진 묘사이다.

             아담하게 음영을 살린 <설채법>도 사임당의 예술적 재능이다.

 

           <자리도(紫鯉圖)>, <노안도(蘆雁圖)>, <연로도(蓮鷺圖)>,·

           <요안조압도(蓼岸鳥鴨圖)>는 너무나 유명하다.

 

       사임당(師任堂)의 정통적 화풍 기법은 <맏 딸>인 <매창 이부인(梅窓 李夫人)>과

                    <넷째 아들>인 <이 우(李 瑀)>에게 전해졌다.

 

                 서예는 <초서 6폭>과 <해서 1폭>이 남아 있다.

                 <1868 년> 강릉부사 <윤 종의>는

                 사임당의 서예를 판각하여서 오죽헌에 보관했다.

 

       사임당(師任堂)이,     

                 강릉을 떠나면서 대관령을 넘을 때 지은

                 <유대관령 망친정(大關嶺望親庭)>의 시(詩)와

 

                         대관령(大關嶺)을 넘으며 친정(親庭)을 바라보다(유대관령 망친정)

 

 

                         자비롭게 늙으신 어머니 임영재(臨瀛)에 두고

                         외롭게 장안길(長安)로 발걸음을 옮기는 이 마음

                         때때로 고개돌려 북평쪽(北坪) 바라보니

                         흰 구름 날으는 곳에 저녁산 만 푸르구나

             

 

                 어머니를 생각하면서 지었다는 <사친(思親)>의 시는 유명하다.

 

                         친정을 그리워하며(사친)

 

 

                         밤마다 달을 바라보며 비옵니다.

                         생전에 한 번만이라도 어머니를 뵙게 해 주옵소서 

 

 

 

 

 신사임당(申師任堂)의 초충도(草蟲圖)

             풀과 벌레를 그려놓은 그림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제일폭, 가지와 방아개비

           <가지>, <방아깨비>, <개미>, <나방>, <벌>이 등장한다.

             땅위에는 개미 한 쌍과 방아깨비가 기어다니고,

             공중에는 나비·벌·나방이 날고 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제이폭, 수박과 들쥐

           <수박>, <들쥐>, <패랭이꽃>, <나비>, <나방>이 등장한다.

             땅위에는 수박을 파먹는 들쥐 두 마리의 모습이 있다.

             수박은 다남(多男)의 상징물로 여긴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제삼폭, 어숭이와 개구리

           <나비>, <원추리꽃>, <매미>, <개구리>가 등장한다.

             원추리는 <망우초(忘憂草)>, <훤초(萱草)>로 불리우는데 

             <시경 詩經>에서 유래한다.

             근심을 잊고 답답함을 푼다는 의미를 지니고 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제사폭, 산차조기와 사마귀

           <여뀌>, <메꽃>, <잠자리>, <벌>, <사마귀>가 등장한다.

             잠자리는 여뀌 주위를 날고 ,

             사마귀는 땅위를 기면서 벌을 노린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제오폭, 산차조기와 사마귀

           <맨드라미>, <산국화>, <나비>, <쇠똥벌레>가 등장한다.

            쇠똥벌레는 일에 열중하하는 모습이다.

           <맨드라미> 주변을 <나비> 세 마리가 날고 있다

           <맨드라미>는 <계관화(鷄冠花)>로도 불리우는데,

             민화에서는 <관계(官界>로의 진출을 상징한다.

 

          

 

 

 

     제육폭, 원추리와 개구리

           <어숭이꽃>, <도라지>, <나비>, <벌>, <잠자리>,<개구리>, <메뚜기>가

             등장한다.

            <어숭이꽃>과 <도라지꽃> 주위를 <나비>와 <잠자리>가 맴돌고,

             <메뚜기>를 보지도 않고,

              허공을 나는 <나비>에게 <개구리>가 관심을 보인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제칠폭, 양귀비와 도마뱀

           <양귀비>, <패랭이꽃>, <달개비>, <도마뱀>, <갑충>이 등장한다.

           <갑충>의 동태를 <도마뱀>이 살펴보고 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제팔폭, 오이와 개구리

           <개구리>, <땅강아지>, <벌>, <오이>, <강아지풀>이 등장한다.

           <개구리>와 <땅강아지>가 전투 준비를 하고 있다.

 

 

 

 

 

 

 

 

   

 

 

 

 

  

 

출처 : 삼존궁 역술원(三尊宮易術院)
글쓴이 : 대수기 원글보기
메모 : 신사임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