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모음 방

[스크랩] 모란이 피기까지는 / 영랑 김윤식

윤정의 일상 2009. 2. 23. 17:48

모란이 피기까지는 - 영랑 김윤식 
모란이 피기까지는
나는 아직 나의 봄을 기다리고 있을테요.
모란이 뚝뚝 떨어져 버린 날,
나는 비로소 봄을 여읜 설움에 잠길테요.
오월 어느 날, 그 하루 무덥던 날,
떨어져버린 꽃잎마저 시들어 버리고는 
천지에 모란은 자취도 없어지고,
뻗쳐 오르던 내 보람 서운케 무너졌느니,
모란이 지고 말면 그뿐,내 한해는 다 가고 말아,
삼백 예순날 마냥 섭섭해 우옵네다.
모란이 피기까지는,
나는 아직 기다리고 있을테요,
찬란한 슬픔의 봄을.



1903. 1. 16 전남 강진~1950. 9. 29.


시인.
 
절제된 언어로 민요적 운율의 시를 썼다. 본관은 김해. 본명은 윤식(允植).
 
지주인 아버지 종호(鍾湖)와 어머니 김경무(金敬武) 사이의 5남매 가운데 장남으로 태어났다. 1915년 강진보통학교를 마치고 이듬해 결혼했으나 1년 반 만에 아내를 잃었다. 그해 어머니의 도움으로 서울에 올라와 조선중앙기독교청년회관에서 영어를 배우다가 1917년 휘문의숙에 입학했다. 휘문의숙 3학년 때 3·1운동이 일어나 학교를 그만두고 강진에서 의거하려다 체포되어 6개월 동안 옥고를 치렀다. 1920년 일본으로 건너가 아오야마[靑山] 학원 중학부를 거쳐 같은 학원 영문학과에서 공부했으나, 1923년 관동대지진으로 학업을 중단하고 귀국했다. 유학중 무정부주의 혁명가인 박열과 사귀었고 괴테, 키츠 등의 외국문학에 깊이 빠져 있었다. 그뒤 고향에 머물면서 1925년 김귀련(金貴蓮)과 재혼했다. 1930년 정지용과 함께 박용철이 주재하던 〈시문학〉 동인으로 참여했다. 일제 말기에 창씨개명과 신사참배를 끝까지 거부하는 곧은 절개를 보여주었다. 8·15해방 후 강진에서 대한독립촉성국민회를 결성하고 대한청년단 단장을 지냈으며, 1948년 제헌국회의원 선거에 출마했으나 낙선했다. 1949년 공보처 출판국장을 지내는 등 우익보수주의자의 입장에서 정치에 참여했다. 평소에 국악이나 아악, 서양명곡을 즐겨 들었다. 비교적 여유있는 삶을 살다가 1950년 9·28수복 때 유탄에 맞아 죽었다. 묘지는 서울 망우리에 있고, 광주광역시에 있는 공원에 시비가 세워졌다


문학세계


1930년부터 박용철·정지용·이하윤 등과 〈시문학〉 동인으로 시를 쓰기 시작하여 〈시문학〉·〈문학〉에 〈동백잎에 빛나는 마음〉·〈언덕에 바로 누워〉·〈내 마음 아실 이〉·〈모란이 피기까지는〉 등을 발표했다. 초기시는 박용철의 도움을 받아 펴낸 〈영랑시집〉(1935)에 실려 있는데, 주로 자아의 내면에 바탕을 둔 섬세한 감각을 민요적 율조로 노래했다. 이 시기의 시는 '촉기'라는 단어로 특징지을 수 있는데, 여기서의 '촉기'란 그의 해석에 의하면 "같은 슬픔을 노래하면서도 탁한 데 떨어지지 않고, 싱그러운 음색과 기름지고 생생한 기운"이다. 그리고 그것은 육자배기를 비롯한 우리 민요에 흐르고 있는 정조라고 할 수 있다. 이렇듯 그가 민요적 율조에 절제된 시어를 써서 자연을 노래한 점은 한국시사에서 김소월과 함께 전통시가의 맥을 잇는 시인으로 규정짓게 한다. 초기시 가운데 절반 이상이 4행시인 것만 보아도 그가 율격적 구조에 깊은 관심을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의 시 가운데 4음보 4행으로 된 것은 한시와 시조의 영향을 받은 듯하나 1, 2행이 대구를 이루고, 4행에 와서 의미가 갑자기 변화하는 것으로 보아 시조보다 1행이 더 많고 한시의 기승전결 구조와 맞지 않는 독특한 형식으로 되어 있다. 


그의 시에는 '슬픔·눈물·기다림·마음' 등의 시어가 자주 등장한다. 그러나 이 시어들이 나타내는 비애의 느낌은 이전의 시인들처럼 영탄이나 감상에 머물러 있지 않고 마음속으로 향해 있을 뿐 아니라 민요적 율조로 극복되어 있다. 〈동백잎에 빛나는 마음〉에서 애절하면서도 그렇게 슬프지 않은 마음을 나타낸 것처럼 그의 시의 서정성은 이런 '마음'에서 비롯된다. 어린 나이에 아내를 잃은 슬픔을 노래한 〈쓸쓸한 뫼 앞에〉(시문학, 1930. 3)를 비롯해, 모란이 피기까지의 '기다림'과 모란이 떨어져버린 뒤의 '절망감'을 보여주고 끝행에서 '찬란한 슬픔의 봄'을 기다리는 화자의 의지를 보여준 대표작 〈모란이 피기까지는〉(문학, 1934. 4) 등이 이 시기에 발표한 작품이다. 


후기시는 한동안 시를 발표하지 않고 있다가 1940년을 전후해 발표한 〈거문고〉(조광, 1939. 1)·〈달맞이〉(여성, 1939. 4)·〈독을 차고〉(문장, 1939. 7) 등에서 비롯된다. 이 시기에는 섬세한 감각을 민요적 율조로 읊었던 초기 시와는 달리 자아를 확대하고 세계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바탕으로 했다. 즉 초기에는 형식에 치중한 반면 후기에는 내용에 치중한 것이다. 이 시기에 이르러 그는 인생과 사회에 대한 절망과 회의를 노래하면서 '죽음'을 강렬하게 의식했다. 이때의 '죽음'은 초기에 노래했던 비애의식이 아니라 '삶' 자체에 대한 회의를 나타낸 것으로 일제 말기의 어려운 현실을 잘 보여주었다. 이러한 회의와 민족관념은 억압받는 우리 민족을 기린에 비유한 〈거문고〉와 '내 가슴에 독을 찬 지 오래로다'로 시작되는 〈독을 차고〉를 거쳐 〈묘비명〉(조광, 1939. 12)·〈한줌 흙〉(조광, 1940. 3)에 이르면서 운명론으로 기울어진다. 


이와 같은 시 경향은 해방이 되자 판이하게 바뀐다. 해방의 감격을 그대로 읊은 〈바다로 가자〉·〈겨레의 새해〉 등을 발표하여 조국의 산천이 살아 움직이는 모습과 새로운 조국건설에 참여하려는 의지를 보여주었다. 그러나 이 시기의 시들도 현실에 대한 구체적 인식이 부족한 격정적 토로에 그쳤다. 시집으로 〈영랑시선〉(1949)·〈현대시집〉(1950)·〈모란이 피기까지〉(1975)·〈찬란한 슬픔〉(1985) 등이 있다.





출처 : 初志一貫 늘 한결같은 맘으로...
글쓴이 : 수원김가 원글보기
메모 :

모란이 피기가지/ 영랑 김윤식

'☆〓♣시모음 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좋아서 좋은 사람/오광수!  (0) 2009.06.03
하나 뿐인 길 /류경희!  (0) 2009.06.03
가슴에 묻은 이름하나~최수월  (0) 2009.01.22
이해인 수녀님의 詩 모음!  (0) 2008.12.14
그리워 눈물이 납니다  (0) 2008.11.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