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만사새옹지마(人間萬事塞翁之馬)
새옹이란 새상(塞上:북쪽 국경)에 사는 늙은이란 뜻이다.
회남자(淮南子)의 인간훈(人間訓)에 나오는 이야기로,
북방 국경 근방에 점을 잘 치는 늙은이가 살고 있었는데
하루는 그가 기르는 말이 아무런 까닭도 없이 도망쳐
오랑캐들이 사는 국경 너머로 가버렸다.
마을 사람들이 위로하고 동정하자 늙은이는
"이것이 또 무슨 복이 될는지 알겠소" 하고
조금도 낙심하지 않았다.
몇달 후 뜻밖에도 도망갔던 말이
오랑캐의 좋은 말을 한 필 끌고 돌아오자
마을 사람들이 이것을 축하하였다.
그러자 그 늙은이는 "그것이 또 무슨 화가 될는지 알겠소"
하고 조금도 기뻐하지 않았다.
그런데 집에 좋은 말이 생기자
전부터 말타기를 좋아하던 늙은이의 아들이 그 말을 타고
달리다가 말에서 떨어져 다리가 부러졌다.
마을 사람들이 아들이 병신이 된 데 대하여 위로하자
늙은이는 "그것이 혹시 복이 될는지 누가 알겠소" 하고
태연한 표정이었다.
그런 지 1년이 지난 후 오랑캐들이 대거 쳐들어왔다.
장정들이 활을 들고 싸움터에 나가 모두 전사하였는데
늙은이의 아들만은 다리가 병신이어서 부자가 모두 무사할
수 있었다.
인생사 새옹지마처럼 변화와 부침이 있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인간의 행과 불행은 동적인 것이지 정적인 것이
아니란 뜻이겠다
편집한글/ 곡천 김무덕